암에 잘 걸리는 체질?… 가족력보다는 흡연-짠 음식이 더 위험
의학계에서도 찬반이 팽팽했다. 정말로 암에 잘 걸리는 체질이라는 게 존재하는가에 대한 논란이 확산됐다. 베스트닥터들에게 이 질문부터 던졌다. “암에 잘 걸리는 체질은 있나.”
○ ‘암 체질’이 존재하나
부모가 암에 걸리면 자식도 암에 걸릴까. 술과 담배를 끊고 열심히 운동해도 체질 때문에 암에서 벗어날 수 없는 걸까. 베스트닥터들은 이런 질문에 “암에 취약한 사람은 분명 있지만 암에 걸리는 체질 같은 것은 없다”라고 잘라 말했다.
장항석 강남세브란스병원 교수(갑상샘암 베스트닥터)는 “아빠가 짜게 먹으면 자식도 짜게 먹을 확률이 크다. 부모의 좋지 않은 습관을 아이들이 그대로 따라하다 보니 가족이 비슷한 질환에 걸리는 것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가족력보다는 나쁜 ‘환경적 체질’이 더 위험하다는 뜻이다.
가족력보다 발암물질과 각종 바이러스에 그대로 노출되는 환경이 더 문제라는 지적도 나왔다. 윤숙정 화순전남대병원 교수(피부암)는 “체질을 논하기 전에 유해환경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암 체질이 있더라도 관리하거나 수술 치료로 예방이 가능하다는 의견도 내놨다. 한광협 연세암병원 교수(간암)는 “설령 암에 취약한 체질이 있다 하더라도 규칙적인 생활과 건강한 습관을 유지하면 암에 걸릴 확률을 낮출 수 있다”라며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송철 서울아산병원 교수(췌장암)는 “유전체를 이용한 정밀의학 분야에서 이와 관련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진짜로 암에 취약한 ‘체질’이라면 수술 치료도 가능하다”라고 소개했다.
○ 5년 지나면 완치?
암을 치료하고 5년이 지나면 의학적으로 완치 판정을 받는다. 하지만 베스트닥터들은 “냉정하게 말하면 암 완치는 없다”라며 암에 대한 ‘불편한 진실’을 털어놓았다.
안세현 서울아산병원 교수(유방암)는 “유방암은 다른 암과 달리 진행이 느려 5년 후에도 완치 판정을 내리지 않는다. 실제로 10년이 지나서 유방암이 재발하는 사례도 간혹 볼 수 있다”라고 귀띔했다. 김훈엽 고려대 안암병원 교수(갑상샘암)도 “늦게 암을 발견할수록 5년 후 재발률이 높다. 5년 완치 판정은 무리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암 환자의 1∼5%가 5년 이후에 재발을 경험한다. 왜 그런 것일까. 노성훈 연세암병원장(위암)은 “위, 유방, 대장 등 장기를 부분 절제할 경우 남아있는 부분에서 암이 발생할 확률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같은 토양에서는 잡초를 뽑아도 다시 나는 것과 같은 이치다.
하지만 암 환자가 영원히 암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뜻은 아니다. 노 교수는 “5년 후에도 정기검진을 통해 암 재발을 체크하면 설령 재발한다 해도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자연요법의 허상
찌든 도시를 벗어나 깊은 산이나 외딴 섬으로 들어가면 암을 치유할 수 있을까. 이른바 ‘자연요법’으로 암을 고쳤다는 이야기가 심심찮게 들려온다. 베스트닥터들은 이런 현상을 어떻게 평가할까.
양한광 서울대병원 교수(위암)는 “과거에 환자 중 한 명이 자연요법을 하겠다며 의학적 치료를 끊은 적이 있다. 그 환자는 통증도 없고 정신도 맑아졌다고 하더니 한 달을 못 넘기고 세상을 떠났다”라고 소개했다. 안세현 서울아산병원 교수(유방암)도 “30년간 의사 생활하면서 자연요법으로 암을 치유했다는 사람은 단 한 명도 보지 못했다”라고 말했다. 강석호 고려대 안암병원 교수(방광암)는 “명상과 같은 자연요법이 질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는 있지만 일단 암에 걸린 후에는 과학적 치료를 해야 한다. 자연요법에만 의존하면 치료시기를 놓칠 수 있다”며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자연요법이 ‘보조도구’로서 효용 가치가 있다는 언급도 있었다. 소의영 아주대병원 교수(갑상샘암)는 “자연요법이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해 치료에 약간의 도움을 줄 수는 있다”며 “다만 이때도 의료진의 지시를 철저히 따라야지, 치료를 대체해서는 안 된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 베스트닥터들의 암 예방법
흡연과 같은 암 유발 요인은 피하는 게 좋다. 김송철 서울아산병원 교수는 여기에 긍정적인 마음과 주기적 운동을 추가하라고 했다. 암 예방에 좋은 음식만 먹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조재원 삼성서울병원 교수(간암)는 “암을 막아주는 특정 음식은 없다. 채소와 생선, 과일을 충분히 먹고 음식은 싱겁게 조리하라”고 충고했다. 심영목 삼성서울병원 교수(폐암)는 “베스트닥터라고 해서 암 예방 비법이 따로 있는 게 아니다. 중요한 것은 꾸준함과 절제다”라고 강조했다.
서울대병원 9명-서울아산병원 9명… 초대형 병원 명성 여전
트랜드뉴스 보기
10대 암, 베스트닥터는 누구? 대학병원 등 33곳서 63명 선정
연령대별로는 50대가 절반 이상(54.0%)을 차지했다. 최고령 베스트닥터는 이수정 영남대병원 유방내분비외과 교수(65)였고, 최연소 베스트닥터는 한영석 경북대병원 간담췌외과 교수(39)였다. 베스트닥터는 각 병원을 대표하는 의사 386명의 투표를 통해 선정됐다. 이들은 같은 진료과의 다른 병원 의사 중에서 베스트닥터 후보 1∼5명을 추천했다. 추천 기준은 △의사 자신의 가족이 환자일 때 맡기고 싶은 의사 △연구 실적이 좋은 의사 △성실성 등 평판이 좋은 의사였다.
10대 암은 2016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등록한 신규 암 환자가 가장 많은 위암, 갑상샘암, 대장암, 유방암, 폐암, 간암, 전립샘암, 방광암, 피부암, 췌장암을 가리킨다.》
10대 암 분야에서 베스트닥터를 선정한 결과 서울아산병원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연세암병원) 삼성서울병원 등 초대형 병원들이 고르게 베스트닥터를 배출했다. 이 4개 병원이 배출한 베스트닥터를 모두 합치면 32명. 전체 베스트닥터의 절반(50.8%)을 웃돈다.
○ 초대형 병원 쏠림 두드러져
‘빅5’에 해당하는 서울성모병원의 성적표는 그리 좋지 않았다. 서울성모병원은 2개 분야에서 2명의 베스트닥터를 배출하는 데 그쳤다. 서울성모병원 교수들은 대부분 중위권을 넘어 상위권에 올랐지만 베스트닥터 선정 기준인 ‘5위’에는 들지 못했다. 국립암센터도 결과는 비슷했다. 서울성모병원과 마찬가지로 2개 분야에서 2명만이 베스트닥터가 됐다. 상황은 강북삼성병원 경희대병원 건국대병원 한양대병원 중앙대병원 길병원 등 내로라하는 대학병원들도 마찬가지로 단 한 명의 베스트닥터를 배출하지 못했다. 이들 병원 소속 교수 중 일부는 상위권에서 경쟁했지만 빅4의 벽을 넘지는 못했다.
'Bravo My Life~!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외선 차단제, 스프레이보다는 크림 타입 추천” (0) | 2018.11.06 |
---|---|
오메가3, 뇌 기능 향상 도와… “하루 500mg 이상 섭취하세요” (0) | 2018.11.06 |
겨울철 녹내장 환자 평균 45만 명… 시력-안압 측정만으론 발견 어려워 & 어린이 약시 (0) | 2018.01.31 |
부정맥/ 심장이 두근두근, 심장이 쿵, 혹시 나도 부정맥? (0) | 2018.01.25 |
겨울에 잘 터지는 뇌혈관… 조기검진-관리가 중요 (0) | 2018.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