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치’ 아닌 ‘관리’하는 질환… 방치하면 실명할 수 있지만 치료하면 진행속도 늦출 수 있어
2012년 58만4558명에서 2016년에는 80만7677명으로 38.2%(22만3119명) 증가했다. 특히 겨울철에 녹내장 환자가 많이 발생한다. 2015, 2016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봄, 여름, 가을엔 녹내장 진료 인원이 평균 35만여 명이었다. 겨울철에는 평균 45만여 명으로 10만 명이 더 많다.
전문가들은 낮은 온도로 인한 혈관 수축 등으로 안압이 높아지면서 녹내장 환자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녹내장학회 정보통신이사인 최재완 센트럴서울안과 원장, 누네안과병원 녹내장센터 홍영재 원장(전 세브란스병원 안과 교수)의 도움말로 녹내장에 대해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정보를 알아봤다.
Q: 안압이 올라가야 녹내장이 생긴다?
A: 한국인 등 동양인은 안압이 정상 범위임에도 녹내장이 발생하는 ‘정상안압녹내장’이 흔하다. 따라서 건강검진에서 시력과 안압만 측정할 경우 녹내장 발견이 어렵다. 건강검진 항목 중 ‘시신경 촬영’이 포함되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한다. 특히 녹내장 환자가 가장 많은 60대는 가까운 안과를 찾아 녹내장이 의심되는 부분이 없는지 한 번쯤 검사를 받는 게 좋다.
A: 대체로 밤에 누워 잘 때 안압이 좀 더 높이 올라간다. 낮에 병원에서 잰 안압이 낮은데도 불구하고 녹내장이 진행하는 경우엔 야간 안압이 높지 않은지 검사해 볼 필요가 있다. 녹내장 안약을 잘 쓰는데도 불구하고 안압이 들쑥날쑥해 안압의 변동성이 크다고 의심되면 병원에 입원해 24시간 연속 안압을 측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 집에서 혈압계처럼 안압을 측정할 수 있는 ‘자가안압측정기’도 나와 있다. 계절적으로는 혈관이 수축하는 겨울에 안압이 올라간다는 연구들도 보고되고 있다.
Q: 녹내장은 나이 든 사람한테만 발생하는가?
A: 녹내장은 시신경이 망가지면서 시야가 좁아지는 질환이다. 나이가 든 사람에게서 더 많은 빈도로 발생하지만 20, 30대에도 발생한다. 특히 젊은 나이에 발병하는 녹내장의 경우 진행이 매우 빠른 경우가 있어 젊다고 안심할 수 없다. △40세 이상이거나 △고혈압 혹은 당뇨병 등의 심혈관계 질환이 있는 경우 △근시가 심한 경우 △가족력이 있다면 40세 이하라 하더라도 안과에서 녹내장 유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Q: 녹내장은 완치가 가능한 질환인가?
A: 녹내장은 한 번의 치료로 ‘완치’하는 질환이 아니라 여러 가지 방법으로 ‘관리’하는 질환이다. 질환의 손상 기전이 시작된 녹내장은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실명에 이를 수 있다. 다만 진행의 양상이 발견되었을 때 질환의 진행 정도, 환자 나이, 안압 수치 등에 따라 달라진다. 어떤 사람은 몇 년 안에 급하게 진행되어 실명할 수도 있지만, 대다수의 녹내장은 치료만 제대로 받는다면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다.
Q: 녹내장은 수술하면 안 된다?
A: 안압 하강제나 레이저 치료로 안압이 조절되지 않으면 안압을 낮추기 위해 녹내장 수술을 시행한다. 현재 흔한 녹내장 수술은 섬유주절제술이다. 눈 안에서 밖으로 방수가 빠져나가는 유출 통로를 만드는 것이다. 이 방법은 절개 범위가 넓고 수술 후 관리가 까다로우며 회복 기간이 다소 느린 것이 단점이다.
최근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최소 침습 녹내장 수술’이 국내에도 도입되고 있다. 이 수술은 안구 내에 미세한 관을 삽입해 안압을 떨어뜨리는 방법이다. 2mm 이내의 미세 절개창을 통해서 수술이 가능하며, 수술 시간이 짧고 회복이 빠르다. 다만 최소 침습 녹내장 수술의 모든 종류가 도입된 것은 아니다. 아직 초기 단계로 임상 경험이 좀 더 축적되어야 한다.
최소 침습 녹내장 수술에는 경도 또 중등도 녹내장 치료에 사용되는 ‘아이스텐트(iStent)’가 국내 도입됐다. 외국에서 많이 사용되는 스텐트인 엘러간의 젠(XEN) 수술은 국내 도입을 준비 중이다. 젠은 기존 섬유절제술에 비해 절개 부위가 작으면서 효과는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내장 약제 중에서는 몇 가지 신약이 국내에 정식 도입되는 것을 목표로 임상시험 중이다. 기존 녹내장 약제들처럼 매일 눈에 안약을 넣는 것이 아니라 수개월에 한 번씩 안구 내에 주사하는 방법으로 치료하는 제품의 경우 향후 2, 3년 내 국내에 도입될 예정이다.
녹내장 환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12년 58만4558명에서 2016년에는 80만7677명으로 38.2%(22만3119명) 증가했다. 특히 겨울철에 녹내장 환자가 많이 발생한다. 2015, 2016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봄, 여름, 가을엔 녹내장 진료 인원이 평균 35만여 명이었다. 겨울철에는 평균 45만여 명으로 10만 명이 더 많다.
전문가들은 낮은 온도로 인한 혈관 수축 등으로 안압이 높아지면서 녹내장 환자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녹내장학회 정보통신이사인 최재완 센트럴서울안과 원장, 누네안과병원 녹내장센터 홍영재 원장(전 세브란스병원 안과 교수)의 도움말로 녹내장에 대해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정보를 알아봤다.
Q: 안압이 올라가야 녹내장이 생긴다?
A: 한국인 등 동양인은 안압이 정상 범위임에도 녹내장이 발생하는 ‘정상안압녹내장’이 흔하다. 따라서 건강검진에서 시력과 안압만 측정할 경우 녹내장 발견이 어렵다. 건강검진 항목 중 ‘시신경 촬영’이 포함되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한다. 특히 녹내장 환자가 가장 많은 60대는 가까운 안과를 찾아 녹내장이 의심되는 부분이 없는지 한 번쯤 검사를 받는 게 좋다.
Q: 녹내장 안압은 밤에 더 낮아진다?
A: 대체로 밤에 누워 잘 때 안압이 좀 더 높이 올라간다. 낮에 병원에서 잰 안압이 낮은데도 불구하고 녹내장이 진행하는 경우엔 야간 안압이 높지 않은지 검사해 볼 필요가 있다. 녹내장 안약을 잘 쓰는데도 불구하고 안압이 들쑥날쑥해 안압의 변동성이 크다고 의심되면 병원에 입원해 24시간 연속 안압을 측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 집에서 혈압계처럼 안압을 측정할 수 있는 ‘자가안압측정기’도 나와 있다. 계절적으로는 혈관이 수축하는 겨울에 안압이 올라간다는 연구들도 보고되고 있다.
Q: 녹내장은 나이 든 사람한테만 발생하는가?
A: 녹내장은 시신경이 망가지면서 시야가 좁아지는 질환이다. 나이가 든 사람에게서 더 많은 빈도로 발생하지만 20, 30대에도 발생한다. 특히 젊은 나이에 발병하는 녹내장의 경우 진행이 매우 빠른 경우가 있어 젊다고 안심할 수 없다. △40세 이상이거나 △고혈압 혹은 당뇨병 등의 심혈관계 질환이 있는 경우 △근시가 심한 경우 △가족력이 있다면 40세 이하라 하더라도 안과에서 녹내장 유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Q: 녹내장은 완치가 가능한 질환인가?
A: 녹내장은 한 번의 치료로 ‘완치’하는 질환이 아니라 여러 가지 방법으로 ‘관리’하는 질환이다. 질환의 손상 기전이 시작된 녹내장은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실명에 이를 수 있다. 다만 진행의 양상이 발견되었을 때 질환의 진행 정도, 환자 나이, 안압 수치 등에 따라 달라진다. 어떤 사람은 몇 년 안에 급하게 진행되어 실명할 수도 있지만, 대다수의 녹내장은 치료만 제대로 받는다면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다.
Q: 녹내장은 수술하면 안 된다?
최근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최소 침습 녹내장 수술’이 국내에도 도입되고 있다. 이 수술은 안구 내에 미세한 관을 삽입해 안압을 떨어뜨리는 방법이다. 2mm 이내의 미세 절개창을 통해서 수술이 가능하며, 수술 시간이 짧고 회복이 빠르다. 다만 최소 침습 녹내장 수술의 모든 종류가 도입된 것은 아니다. 아직 초기 단계로 임상 경험이 좀 더 축적되어야 한다.
최소 침습 녹내장 수술에는 경도 또 중등도 녹내장 치료에 사용되는 ‘아이스텐트(iStent)’가 국내 도입됐다. 외국에서 많이 사용되는 스텐트인 엘러간의 젠(XEN) 수술은 국내 도입을 준비 중이다. 젠은 기존 섬유절제술에 비해 절개 부위가 작으면서 효과는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내장 약제 중에서는 몇 가지 신약이 국내에 정식 도입되는 것을 목표로 임상시험 중이다. 기존 녹내장 약제들처럼 매일 눈에 안약을 넣는 것이 아니라 수개월에 한 번씩 안구 내에 주사하는 방법으로 치료하는 제품의 경우 향후 2, 3년 내 국내에 도입될 예정이다.
원문보기: http://news.donga.com/3/all/20180129/88404044/1#csidx0656393271a1d8d95e2de141f2c52ed
****************************************************************
눈 가늘게 뜨는 우리 아이, 혹시 약시?
4세前에 치료하면 대부분 정상으로… 전문의 “1, 3, 6세에 검사 받으세요”
호주오픈 4강에서 부상 투혼을 펼친 정현(22·한국체대)이 테니스를 시작한 계기는 ‘약시’다. 6세 때 약시 진단을 받고 “책을 읽기보단 야외 활동을 하며 초록색을 많이 보는 게 좋다”는 의사의 조언에 따라 라켓을 잡았다고 한다. 약시란 무엇이고 어떻게 치료해야 하는지 안과 전문의들에게 물었다.
약시는 눈에 특별한 이상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안경을 써도 시력이 낮은 상태다. 태어난 직후 아이는 큰 물체만 감지할 수 있을 정도였다가 생후 3, 4개월엔 어른과 눈을 맞출 수 있게 되고 5, 6세에는 시력이 1.0 이상 된다. 이때 안경을 써도 시력이 0.8 미만이거나 두 눈의 시력 차이가 크면 약시를 의심해야 한다. 이 나이의 아이들에게선 흔하다. 한 해 2만여 명이 약시 탓에 병의원을 찾는다.
원인은 다양하지만 사시나 굴절 부등(짝눈) 때문에 한쪽 눈만 사용해 다른 쪽의 시력이 더 나빠지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근시나 원시, 난시가 심한데도 안경을 쓰지 않아 굴절 이상이 심해지는 사례도 있다. 백내장이나 각막 혼탁, 눈꺼풀 처짐 등 수술이 필요한 질환 때문에 약시가 발생하는 경우도 배제할 수 없다.
제때 치료받지 않으면 3차원 입체 감각과 거리 감각이 제대로 발달하지 않고 책 읽기의 정확성과 속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공부할 때 집중력도 낮아진다. 성인이 돼 라식이나 라섹 등 시력교정술을 받아도 약시는 치료할 수 없다.
조기에 알아채 병의원에 데려가는 게 중요하다. 아이가 TV를 보거나 책을 읽을 때 목을 빼고 눈을 가늘게 뜨는 게 가장 흔한 신호다. 부모와 눈을 제대로 맞추지 못하거나 고개를 유난히 자주 갸우뚱거리는 것도 마찬가지다. 이럴 땐 안과에 들러 시력을 측정하는 게 좋다. 대한안과학회에 따르면 4세 이전에 치료한 아이의 95%는 정상 시력을 되찾았다. 반면 8세가 넘어서 치료하면 정상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23% 정도에 불과했다.
근시 등 굴절 이상이 원인이라면 일찍부터 안경을 사용한다. 한쪽 눈에만 약시가 있다면 정상인 쪽을 일정 기간 가리거나 약물을 넣는다. 약시가 있는 눈을 자주 쓰게 해 시력 발달을 유도하는 것이다. 드물지만 소아 백내장이나 눈꺼풀 처짐이라면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전문의들은 ‘1·3·6 검사’를 권한다. 만 1세, 3세, 6세 때 안과에서 사시와 약시 검사를 받는 것이다. 읽기 능력을 갖추기 전에도 굴절 이상이나 사시는 검사로 걸러낼 수 있다.
도움말=하석규(고려대 구로병원)·김응수 교수(건양대 김안과병원)
한 어린이가 안과에서 시력 검사를 받고 있다. 약시는 4세 이전에 치료하면 시력을 회복할 수 있지만 8세를 넘기면 정상 수준을 되찾기 어렵다. 건양대 김안과병원 제공
약시는 눈에 특별한 이상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안경을 써도 시력이 낮은 상태다. 태어난 직후 아이는 큰 물체만 감지할 수 있을 정도였다가 생후 3, 4개월엔 어른과 눈을 맞출 수 있게 되고 5, 6세에는 시력이 1.0 이상 된다. 이때 안경을 써도 시력이 0.8 미만이거나 두 눈의 시력 차이가 크면 약시를 의심해야 한다. 이 나이의 아이들에게선 흔하다. 한 해 2만여 명이 약시 탓에 병의원을 찾는다.
원인은 다양하지만 사시나 굴절 부등(짝눈) 때문에 한쪽 눈만 사용해 다른 쪽의 시력이 더 나빠지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근시나 원시, 난시가 심한데도 안경을 쓰지 않아 굴절 이상이 심해지는 사례도 있다. 백내장이나 각막 혼탁, 눈꺼풀 처짐 등 수술이 필요한 질환 때문에 약시가 발생하는 경우도 배제할 수 없다.
제때 치료받지 않으면 3차원 입체 감각과 거리 감각이 제대로 발달하지 않고 책 읽기의 정확성과 속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공부할 때 집중력도 낮아진다. 성인이 돼 라식이나 라섹 등 시력교정술을 받아도 약시는 치료할 수 없다.
조기에 알아채 병의원에 데려가는 게 중요하다. 아이가 TV를 보거나 책을 읽을 때 목을 빼고 눈을 가늘게 뜨는 게 가장 흔한 신호다. 부모와 눈을 제대로 맞추지 못하거나 고개를 유난히 자주 갸우뚱거리는 것도 마찬가지다. 이럴 땐 안과에 들러 시력을 측정하는 게 좋다. 대한안과학회에 따르면 4세 이전에 치료한 아이의 95%는 정상 시력을 되찾았다. 반면 8세가 넘어서 치료하면 정상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23% 정도에 불과했다.
근시 등 굴절 이상이 원인이라면 일찍부터 안경을 사용한다. 한쪽 눈에만 약시가 있다면 정상인 쪽을 일정 기간 가리거나 약물을 넣는다. 약시가 있는 눈을 자주 쓰게 해 시력 발달을 유도하는 것이다. 드물지만 소아 백내장이나 눈꺼풀 처짐이라면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전문의들은 ‘1·3·6 검사’를 권한다. 만 1세, 3세, 6세 때 안과에서 사시와 약시 검사를 받는 것이다. 읽기 능력을 갖추기 전에도 굴절 이상이나 사시는 검사로 걸러낼 수 있다.
도움말=하석규(고려대 구로병원)·김응수 교수(건양대 김안과병원)
트랜드뉴스 보기
'Bravo My Life~!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메가3, 뇌 기능 향상 도와… “하루 500mg 이상 섭취하세요” (0) | 2018.11.06 |
---|---|
암에 관한 진실 그리고 오해 // 10대 암, 베스트닥터는 누구? (0) | 2018.02.07 |
부정맥/ 심장이 두근두근, 심장이 쿵, 혹시 나도 부정맥? (0) | 2018.01.25 |
겨울에 잘 터지는 뇌혈관… 조기검진-관리가 중요 (0) | 2018.01.25 |
정확한 당 수치 알아야 ‘당뇨병’이 보인다0 (0) | 2017.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