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ravo My Life~!/건강&정보

'후종인대 골화증' 척추 뒤 인대 석회화…흔하지만 낯선 병

by 찌매듭 2017. 12. 7.

손발 저림 방치하다간 사지마비 큰일 납니다

척추 뒤 인대 석회화…흔하지만 낯선 병 '후종인대 골화증'
50~60대 남성 10%이상 앓아/발병 원인 확실하지 않지만/동북아국가 유병률 유독 높아/척추관 지나는 신경 압박/

다리 근력저하·보행장애/10~30년간 서서히 진행/올바른 척추 자세 유지하고 목 부위 통증땐 병원 찾아야

손발 저림 방치하다간 사지마비 큰일 납니다

60세 남성 A씨는 얼마 전 화장실에서 미끄러지면서 얼굴이 벽에 부딪힌 채 쓰러졌다. 목을 다쳐 일시적으로 사지마비가 왔지만 수술 경과가 좋아 이제는 혼자서 움직일 만하다.

A씨의 진단명은 다소 생소한 ‘후종(後從)인대 골화증(骨化症)’. 척추뼈 사이의 움직임을 유지하면서 어긋나지 않도록 척추 앞 뒤에서 세로, 즉 종(縱) 방향으로 지지해주는 두 가지 인대 중 척추제 뒤, 척추관 앞쪽에 있는 인대가 석회화로 뼈처럼 단단하게 굳어지면서 튀어나와 척추관을 지나는 신경을 압박해서 생기는 질환이다. 그런 점에서 척추 추간판(디스크)이 신경을 누르는 추간판탈출증과 발생 기전과 경과가 완전히 다르다.  

손발 저림 방치하다간 사지마비 큰일 납니다
◇50~60대 남성 유병률 11% 수준=우리나라 인구의 4.6%인 230만명가량이 후종인대 골화증 환자로 추정된다. 연령대별 유병률은 50대가 남성 10.5%, 여성 4.8%, 60대가 남성 11.6%, 여성 7.4%, 70대 이상은 남성 16.9%, 여성 8.9% 수준이다. 제2~5 경추에 걸쳐 다발성으로 생기는 경우가 많다.

이 질환의 원인은 아직 확실하지 않다. 다만 백인의 유병률은 0.1~0.2% 수준에 불과한데 한국·일본·중국·대만 등 동북아 국가에서 유독 유병률이 높아 유전적·인종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 비만, 면역질환, 강직성 척추염 등과도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후종인대 골화증을 예방하려면 올바른 척추 자세를 갖는 게 중요하다. 목의 굴곡을 심화시키는 엎드려서 책보기, 누워서 TV 보기, 높은 베개, 팔걸이가 높은 소파에 장시간 눕기 등은 피해야 한다. 습관적인 목 돌리기·꺾기도 목뼈(경추)와 추간판에 손상을 줘 후종인대 골화 등 퇴행성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손발 저림 방치하다간 사지마비 큰일 납니다
◇1년에 4㎜ 정도씩 커져 신경 압박=후종인대 골화증은 주로 목뼈 쪽에서 발생하며 초기에는 증상이 없거나 목 부위 통증과 압박감이 느껴지는 정도다. 척추관이 65%가량이 좁아져야 신경학적 징후 및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개 10~30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며 1년에 4㎜ 정도씩 인대가 커진다. 후종인대가 딱딱해지고 커질수록 신경을 압박해 팔·손 저림, 통증, 감각저하가 나타나고 심해지면 다리의 근력저하와 감각 이상, 보행장애, 배뇨·배변장애가 찾아온다. 교통사고 등 외상으로 급격히 악화돼 팔다리 마비가 올 수도 있다.

그렇다고 X레이나 전산화단층촬영(CT)·자기공명영상(MRI)을 보고 곧바로 진단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환자가 느끼는 증상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X레이와 CT 영상에서는 골화된 후종인대가 하얗게 보인다. 방사선이 투과되지 않기 때문이다. X레이는 질환이 아주 심해진 경우가 아니면 잘 보이지 않는다. 반면 CT는 골화가 어디까지 진행됐고 크기는 어떤지 알 수 있어 진단에 유용하다. 다만 신경장애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척수신경 등의 상태를 확인하려면 MRI를 찍어야 한다. MRI도 골화 부위를 제대로 알 수 없어 증상이 심한 환자를 진단하거나 수술하려면 CT와 MRI 영상이 모두 필요하다. 척수신경 사이사이가 하얗고 밝게 보이면 척수신경에도 문제가 생겼다는 신호다. 

◇골화 부위 제대로 제거 안하면 재발=환자의 상태에 따라 신경학적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경과를 관찰하면서 치료를 해야 한다. 신경 압박이 오랜 기간 지속될 경우 척수신경에 되돌릴 수 없는 변성이 나타나 수술을 해도 손상된 신경 기능의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척추관 침범이 심하거나 소염진통제 등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방사통이 있는 경우, 보행장애, 손의 섬세한 운동장애 등과 같은 척수병증이 보이는 환자에게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수술방법은 척수병증의 정도, 침범된 척추 분절의 범위 등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다만 경증이라도 병변이 척추관의 40% 이상을 차지하거나 MRI에서 척수신경 신호에 변화가 있는 경우, 젊은 경증·중증 척수병증 환자의 신경학적 결손 예방을 위한 수술도 이뤄진다. 골화된 부위가 완전히 제거하지 않거나 목뼈를 잘 고정한 상태에서 수술이 이뤄지지 않으면 재발할 수 있다.

정천기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수술 여부는 통증이 아니라 신경이 얼마나 눌렸는지, 손발이 저리거나 마비증세가 오는 등 신경학적 증상이 있는지 여부를 보고 판단한다”며 “MRI 영상에서 척수 손상이 진행된 경우 등 적절한 수술 시기를 놓치면 척수가 망가져 사지마비가 올 수 있다”고 말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출처 : http://www.sedaily.com/NewsView/1L56Y49WB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