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ravo My Life~!/건강&정보

폐렴 & COPD<만성폐쇄성폐질환>... 계단 오를때, 너무 숨이 차면 의심을(흡연자의 무덤)

by 찌매듭 2017. 10. 1.

'흡연자의 무덤' COPD...계단 오를때 너무 숨 차면 의심을

감기·운동 중 호흡곤란 증세 / 40대 이상 남자 20%가 앓아 / 흡연자라면 담배부터 끊어야
정확한 진단위해 폐기능 검사를 / '흡입 기관지확장제' 치료 중요

 

'흡연자의 무덤' COPD...계단 오를때 너무 숨 차면 의심을

40세 이상 남성 5명 가운데 1명(20.5%), 65세 이상은 3명 중 1명(31.5%)이 앓는 것으로 추정되는 질환. 3층 정도만 걸어서 올라가도 호흡곤란이 느껴지고 중증으로 진행하면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숨이 차 병원에서 산소 공급을 받지 않아야 하는 질환. 병명이 어렵고 여전히 생소한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얘기다.  

우리나라에는 약 350만명의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산되지만 지난 2015년 이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23만여명으로 7%에도 미치지 못한다.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의 인지도 조사에서 흡연자들조차 “처음 들어보는 병명”이라는 사람이 많고 질병의 위험성에 대해서도 잘 몰라 환자 3명 중 1명이 계속 담배를 피우는 게 현실이다. 

오랜 기간 담배를 피운 중년 이상 성인 중에는 기침·가래 증상에 무심하다 감기에 걸리거나 운동할 때 호흡곤란을 느끼고 나서야 의사를 찾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심해지면 호흡곤란으로 사망할 수도 있는 무서운 병이다.  

인구 10만명당 사망원인 추이 (단위: 명, %) 

순위 2006년 2016년
사망원인 사망률 사망원인 사망자수 구성비 사망률
1 134.0  78,194 27.8  153.0 
2 뇌혈관 질환 61.3  심장 질환 29,735 10.6  58.2 
3 심장 질환 41.1  뇌혈관 질환 23,415 8.3  45.8 
4 당뇨병 23.7  폐렴 16,476 5.9  32.2 
5 자살 21.8  자살 13,092 4.7  25.6 
6 운수 사고 15.9  당뇨병 9,807 3.5  19.2 
7 간 질환 15.5  만성 하기도  
질환
6,992 2.5  13.7 
8 만성 하기도  
질환
14.4  간 질환 6,798 2.4  13.3 
9 고혈압성 질환 9.4  고혈압성 질환 5,416 1.9  10.6 
10 폐렴 9.3  운수 사고 5,150 1.8  10.1 

*자료: 통계청 

지난해 한국인 10대 사망원인 중 4위인 폐렴(인구 10만명당 32.2명), 7위인 만성하기도질환(13.7명) 사망자 중 상당수도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일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10년 사이 10대 사망원인 중 뇌혈관질환(2→3위), 당뇨병(4→6위) 등은 순위가 떨어졌지만 폐렴(10→4위), 만성하기도질환(8→7위)은 순위가 올랐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담배 연기 같은 유해가스 등을 장기간 흡입해 기관지와 폐에 만성 염증이 생겨 발생한다. 가장 주요한 발병 원인은 흡연 또는 간접흡연이다. 기도가 좁아지고 폐 기능이 저하돼 만성적인 기침·가래·호흡곤란이 일어난다. 특히 숨을 내쉴 때 숨이 차게 된다. 폐기종, 만성 기관지염 등이 이에 속한다. 

'흡연자의 무덤' COPD...계단 오를때 너무 숨 차면 의심을
만성폐쇄성폐질환 건강보험 진료인원(2015년)



성폐쇄성폐질환 건강보험 진료인원(2015년) (단위:명,%)

구분 진료인원 구성비율 남자 여자
232,156 100.0  162,717 69,439
20대 이하 4,588 2.0  2,542 2,046
30대 3,895 1.7  2,304 1,591
40대 9,126 3.9  5,856 3,270
50대 28,189 12.1  19,106 9,083
60대 58,130 25.0  43,667 14,463
70대 81,307 35.0  59,511 21,796
80세 이상 46,921 20.2  29,731 17,190

*자료:건강보험공단 

2015년 건강보험 진료인원 23만여명 중 60대 이상이 80%(19만명)를 차지했다. 전체 진료인원의 70%(16만명)가 남성으로 여성(7만명)의 2.3배였다. 이 질환으로 기도가 좁아지면 폐로 들어간 공기가 밖으로 잘 나오지 않아 1초간 뿜어낼 수 있는 공기의 양(FEV1)이 줄어든다. 미국 연구에서 초기 COPD 환자의 FEV1은 정상인의 78%였지만 10년 뒤 흡연 그룹은 66%로 떨어졌다. 반면 금연 그룹은 77%로 10년 전과 거의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조기에 진단해 부작용이 적고 효과가 빠른 ‘흡입 기관지확장제’로 꾸준히 치료하고 흡연자라면 담배를 끊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정부와 국내 의료계의 대응은 후진적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15년 5월부터 1년간 연간 10명 이상의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를 진료한 6,700여 의료기관을 조사해보니 흡입 기관지확장제 처방 비율이 의원 40%, 병원 60%, 종합병원 80%, 대학병원 등 상급종합병원 93%에 그쳤다. 진단과 경과관찰에 필수인 폐기능 검사 시행률도 의원 42%, 병원 52%, 종합병원 68%, 상급종합병원 82%에 불과했다.  

폐 기능은 한 번 망가지면 회복할 수 없어 빨리 발견해 기능이 더 떨어지지 않도록 평생 관리하는 것이 최선인데 중증환자조차 흡입 기관지확장제 1년 지속 치료율이 35%에 불과한 것도 문제다.

이진국 서울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만성폐쇄성폐질환 치료를 위해서는 흡입 기관지확장제를 우선 처방하는 게 국제 기준인데 우리나라에서는 효과가 떨어지고 신장 독성 등 부작용이 많은 먹는 기관지확장제가 건강보험에서 퇴출되지 않은데다 먹는 약만 처방하는 경우가 더 많은 실정이어서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질환과 흡입제 사용법 교육에 5~10분을 투자해야 하는데 건강보험에서 이에 대해 보상을 해주지 않고 있다는 점도 먹는 약 처방률을 높이는 요인 중 하나다.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는 교육상담수가 신설, 국민건강검진 생애전환기(만 40·66세) 검진항목에 폐기능 검사 추가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 교수는 또 “당뇨병·고혈압 진단을 위해 혈당·혈압을 측정하듯이 만성폐쇄성폐질환 진단을 위해서는 반드시 폐기능 검사를 해야 하는데 국내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며 “검사장비 가격이 50만~300만원 수준까지 떨어져 그나마 다행”이라고 말했다. 수십만원을 본인이 직접 부담해야 하는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와 달리 폐기능 검사는 1만~2만원만 내면 된다.

'흡연자의 무덤' COPD...계단 오를때 너무 숨 차면 의심을



3층 정도 걸어서 올라가는데 호흡곤란이 느껴지면 만성폐쇄성폐질환 가능성이 크므로 검사받을 필요가 있다. 유광하 건국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는 “호흡기 증상이 있거나 하루에 한 갑씩 10년간 담배를 피운 경험이 있는 40세 이상은 폐기능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며 “급성 악화의 주요 원인인 호흡기 감염이 생기지 않도록 손 씻기 등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하고 독감·폐렴구균 백신을 맞으라”고 조언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국내 사망원인 4위 폐렴..."심각성 과소평가돼"

국내 사망원인 2005년 10위→2015년 4위로  /  고령층·만성질환자에게 특히 위험해 주의를

폐렴, 고령층, 만성질환자, 사망원인 4위

국내 사망원인 4위 폐렴...'심각성 과소평가돼'
환절기 대표 호흡기 질환인 폐렴이 고령층, 만성질환자에게 특히 위험한 것으로 나타나 예방접종을 맞는 등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사진=연합뉴스
환절기 대표 호흡기 질환인 폐렴은 국내 사망원인이 4위에 이를 정도로 위험한 병이지만 심각성이 과소평가돼 예방접종 등 주의가 요구된다. 

정희진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대한감염학회 성인예방접종위원장)는 13일 서울 신도림 디큐브 아카데미에서 열린 ‘프리베나13 백신 클래스’에서 폐렴 예방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폐렴은 폐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이 병을 일으킨다. 기침, 가래, 열 같은 감기 증상과 가슴 통증, 호흡곤란, 두통, 근육통 등이 나타난다. 주로 9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많이 발생한다. 증상이 감기와 비슷해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노인 환자 중 20~30%가 초기에 증상이 없어 병을 내버려두다가 뒤늦게 폐렴 진단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통계청에 따르면 폐렴은 2005년 사망원인 10위였지만 2015년 4위(인구 10만 명당 28.9명)로 껑충 뛰어올랐다. 폐렴은 특히 노인에게 위험한 질환이다. 2015년 기준 폐렴으로 숨진 환자 10명 중 9명(93%)이 65세 이상이었다. 국내 65세 이상 성인 중 90%가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당뇨병 등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는 통계가 있어 세밀한 주의가 요구된다. 정 교수는 “인구 고령화 사회에서 폐렴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심각성이 저평가됐다”며 “폐렴은 고령층과 만성질환자에게 더욱 위험하고 사망률도 12~14% 정도에 달해 예방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고령자, 만성질환자일 경우 폐렴을 일으키는 주요 병균인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고 정 교수는 권했다.  

현재 성인용 폐렴구균 백신에는 ‘13가 단백접합백신’과 ‘23가 다당질백신’ 두 종류가 국내에 유통되고 있다. 나중에 개발된 13가 백신이 항체 생성률에서 더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23가 백신이라도 맞는 게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65세 이상 노인은 23가 백신을 무료로 맞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