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산 장한종 필 궐어도(玉山張漢宗筆闕魚圖)
조선(朝鮮) / 紙本彩色세로 : 25.6Cm / 가로 : 29.4Cm / 국립중앙박물관 所藏
조선후기 화단에 있어서는 한가지 소재(素材)에 능해 이름을 남긴 화원(畵員)들이 다수 등장한다.
물고기에 있어서는 조선초기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1551)의 전칭작(傳稱作) 『쏘가리』가 전래되며
조선중기에 윤형(尹泂 1551~1613) 및 김인관(金仁寬)의 유작(遺作)이 현존(現存)하고 있다.
그러나 이 소재에 있어서는 장한종(1768~1815) 장윤량(場駿良 1802~1870) 부자와
조연규(趙延奎 1791~1860경)가 단연 손꼽히는 대표적(大表的)인 화가들이다.
이 『 궐어도』또한 화첩에서 떨어져 나온 한 폭으로 우하단에 무게를 두어
물풀 사이의 세마리와 좌상단 수면 위로 솟아 오른 쏘가리를 나타내고 있다.
수면에는 도화(桃花)가 보여 장자(莊子)의 호복한상(濠복閒想)의 고사(古事)에
연원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봄날의 정경으로, 화첩에선 첫번째 그림으로 생각된다.
쏘가리를 가리키는 한자(漢子)의 궐이 대궐을 지칭하는 궐과 같은 발음이기에
과거에 급제하여 대궐에서 벼슬살이를 기원하는 의미로도 그려진 것으로 전해온다.
어개(語介)들을 사다가 자세히 살펴보고 이를 모사(模寫)했다고 한다.
쏘가리는 그가 즐겨 그린 물고기 가운데 하나인데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어 소품이지만
그린 화가의 기량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파서탕이다.
취나물
상류 물수원
궐어도 2
복숭아꽃이 떨어질때가 쏘가리 호황기. 살이 포실포실찔때라는데 산란을 위해 먹이 활동이 활발하기때문일게다
코스모스, 다리아....
에고 네봉지 남았네 빠가사리 오십마리....
포동아, 탈출이 그립냐????
'photo > p-쏘가리와 산나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쓰기용-누락분 몇개-브루길-꿩대신 닭이 아닌 쏘가리대신 농어,열기,쏨뱅등 (0) | 2013.02.27 |
---|---|
신사임당의 쏘가리 그림외 -북조선 쏘가리-중국 쏘가리-독락정 (0) | 2012.10.23 |
꾀미 개조-감성돔 부력괴미로 쏘가리 꾀미 만들기-냉동 쏘가리.....외 (0) | 2012.10.23 |
가을 쏘가리 6 (0) | 2012.10.01 |
가을 쏘가리 5 (후회) (0) | 2012.09.30 |